뜨는 해와 지는 해가 다르지 않듯, 불교에선 생사일여(生死一如)라 하여 생과 사가 같다고 했다. <br /> <br />살면서 죽음은 타인을 통해서만 경험할 수 있는데, 문명의 발전으로 수명이 늘자, 어떤 이는 5·60세가 돼서야 부모가 사망할 때, 비로소 처음 시신을 마주한다. <br /> <br />죽음을 경험하지 못하니 알 수 없고, 알지 못하니 준비할 수 없다. <br /> <br />"죽음은 너무 멀리 있었다. 그건 언제나 다른 사람의 죽음일 뿐, 단 한 번도 당신의 죽음이었던 적이 없다." - 롤란트 슐츠,『죽음의 에티켓』에서 <br /> <br />상여를 보관하는 곳을 상엿집이라 한다. <br /> <br />경산시 무학산엔 300년 넘은 상엿집이 있다. <br /> <br />우리 전통 상여엔 여러 장식이 달리는데, 인물꼭두는 망자를 묘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. <br /> <br />야차는 묘지 주변에 있는 귀신을 물리치고, 봉황과 용은 망자의 혼백을 지켜 좋은 곳으로 인도한다. <br /> <br />상여를 둘러 박혀있는 이것은 '병아리못'이라 불리는데, 망자가 떠나고 남겨진 사람들을 의미한다. <br /> <br />[황영례 / 상례·상여 연구가 : 전통 상여의 장식은 각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타납니다. 그런데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장식이 병아리못입니다. 병아리못은 여러 가지 상여 장식들 중에서 망자가 아닌 남아있는 자들을 유일한 장식입니다.] <br /> <br />지구상에선 대략 1초에 2명, 1분에 100명, 1시간에 6,500명, 하루에 15만 명이 죽는다고 한다. <br /> <br />한 인간의 삶은 죽음으로 멈추지만, 그것이 곧 단절을 의미하진 않는다. <br /> <br />죽음 이후의 절차가 남아있다. <br /> <br />상례란 상중에 행하는 모든 의례를 지칭하고, 장례는 그 안에서 망자의 시신 처리 과정을 의미한다. <br /> <br />[황영례 / 상례·상여 연구가 : 흔히 상례와 장례를 망자를 위한 예우라고 생각하지만, 실은 남겨진 사람들을 위한 것이었습니다. 알고 보면 조선의 유교 문화는 죽음의 문화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. 우리 선조들은 평생을 본인이 아닌 남겨질 자들을 위해서 죽음을 준비했습니다. (이를 통해) 실제로 후에 죽음을 맞이했을 때 남겨진 사람들은 상례를 치르면서 위로와 치유의 시간을 가졌습니다.] <br /> <br />전쟁과 굶주림이 많았고, 의술에도 한계가 있었다. <br /> <br />삶 속에서 죽음을 자주 경험했기 때문에 준비하지 않을 수 없었다. <br /> <br />지금은 평균수명이 늘며 죽음을 직접 마주하는 경우가 적어지다 보니, 상례의 가치는 희미해졌고, 장례마저 간소히 치르는 세태가 됐다. <br /> <br />바쁜 일상 속에서 타인의 죽음은 깊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81507583144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